맨위로가기

수정주의 (마르크스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정주의(마르크스주의)는 19세기 후반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등 민주사회주의자들이 제창한 이론으로, 마르크스주의의 혁명적 노선에서 벗어나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사회주의를 달성하려 했다. 베른슈타인은 계급 투쟁과 폭력 혁명을 부정하고 의회 민주주의를 통한 복지 정책 추진을 주장했다. 이러한 수정주의는 독일 사회민주당 내에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을 초래했다. 현재는 많은 사회주의 정당들이 의회주의 노선을 채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 발전을 보장하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성 강화를 목표로, 자본주의 내 개혁을 추구하는 사회민주주의와 달리 생산 양식의 체계적 전환을 주장하며 의회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 사회민주주의 - 제러미 코빈
    제러미 코빈은 1949년 윌트셔주에서 태어난 영국의 정치인으로, 노동당 당수와 야당 대표를 역임하고 이즐링턴 노스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사회주의적 입장을 표방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펼쳤다.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을 기반으로 자본주의적 세계화가 국제 체제 불안정을 심화시킨다고 보며, 유물사관을 통해 국제 체제의 구조와 경제 역할을 강조하고, 다양한 갈래로 발전하여 주류 이론을 비판하며 불평등과 권력 구조 분석 및 사회 정의 실현을 모색한다.
  • 마르크스주의 - 노동계급
    노동계급은 마르크스주의적 정의에 따라 노동력 외에는 판매할 것이 없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사회의 부를 창출하지만 고등교육 접근, 노동 환경, 정치 참여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정치학 용어 - 거버넌스
    거버넌스는 사회적 통치 시스템을 의미하며, 정부, 시민사회, 시장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경제 성장, 부패 감소, 정치적 안정 강화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정치학 용어 - 정치적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은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좌익과 우익의 1차원 모델, 경제적/개인적 자유를 축으로 하는 2차원 모델, 세속주의-전통주의, 생존주의-자기 표현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잉글하트-벨젤 가치관 지도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수정주의 (마르크스주의)
개요
명칭수정주의 (마르크스주의)
주요 내용마르크스주의의 기본 원칙 수정 또는 거부
관련 사상사회민주주의, 개량주의, 진화적 사회주의
역사적 맥락
기원제2인터내셔널 시기
주요 인물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배경자본주의의 예상치 못한 발전
노동자 생활 조건의 점진적 개선
이론적 특징
핵심 주장자본주의 붕괴는 필연적이지 않음
혁명보다는 점진적인 개혁을 통한 사회 변화 추구
계급 투쟁 완화 가능성
수정된 이론프롤레타리아 독재 개념의 재해석 또는 거부
자본주의 내에서의 사회주의적 요소 발전 가능성 강조
의회 민주주의를 통한 사회주의 실현 가능성 강조
비판 및 논쟁
정통 마르크스주의수정주의는 마르크스주의의 핵심 원칙을 훼손한다고 비판
혁명적 투쟁 포기를 비판
수정주의 옹호론시대 변화에 따른 이론의 적응 필요성 강조
현실적인 정치 운동의 중요성 강조
영향
정치적 영향사회민주주의 정당의 노선 변화에 영향
유럽 사회주의 운동의 주류 형성
현대적 의의현대 사회의 변화와 복잡성을 반영하는 유연한 사회주의 이론으로 평가
같이 보기
관련 항목마르크스주의
사회민주주의
개량주의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2. 역사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초기 수정주의자


'수정주의'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여러 다른 수정된 내용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어 왔다. 계급 투쟁을 통한 카를 마르크스의 혁명에 반대하고, 비혁명적이거나 더 온건한 변화를 추구한 사람들을 수정주의자라고 부른다.

1895년 독일 사회민주당의 셰른랭크가 처음 수정주의를 주장했다. 현재는 세계 많은 공산당이나 사회주의 정당이 의회주의에 따른 방침을 강령에 포함시켜 거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부는 이를 교조주의에서 수정주의로 전환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정통 마르크스주의나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주의자들은 수정주의를 멸칭으로 사용하거나, 낙인을 찍는 말로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중국1960년대 초반, 평화 공존 정책으로 미국과 소련 간 긴장 완화를 추진한 소련을 수정주의적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소련은 중국의 그러한 자세를 "교조주의"라고 비난했다.) 계획 경제 실패로 유연한 조정 정책이라는 경제 정책을 실행한 류사오치, 덩샤오핑 등은 1960년대에 권력을 빼앗길 때 "수정주의적"이라는 죄목으로 비판받았다. 엔베르 호자가 이끄는 알바니아 노동당은 자당 이외의 공산주의 분파를 모두 "수정주의"로 규정했다.

2. 1. 독일 사회민주당과 수정주의 논쟁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프리드리히 엥겔스카를 마르크스의 가까운 지인이었으며, 독일 사회민주당(SPD)에서 두각을 나타낸 최초의 주요 수정주의자 중 한 명이었다.[4] 19세기 후반, '수정주의'라는 용어는 베른슈타인과 같은 민주사회주의 작가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사회주의로의 전환에 대한 마르크스의 생각을 수정하려 했고, 사회주의 사회를 달성하는 데 혁명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다.[5] 베른슈타인의 견해는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점진적이고 평화로운 개혁을 통해 사회주의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개량주의 이론을 낳았다.[6]

베른슈타인은 1896년부터 1898년까지 『노이에 차이트』(''Die Neue Zeit''|디 노이에 차이트de)에 연재한 논문을 『사회주의의 전제와 사회민주주의의 과제』(1899년)로 묶어 수정주의를 체계화했다. 그의 수정주의는 계급 투쟁을 부정하고 중산 계급을 중시했으며,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폭력 혁명에 반대하고 간접 민주주의인 의회 민주주의 틀 내에서 복지 정책 추진을 설파했다. 이 논문으로 독일 사회민주당은 창당 초기부터 안고 있던, 일상적인 수준에서의 체제 적응과 이상으로서의 혁명이라는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처음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을 초래하여, 이 수정주의가 당의 강령으로 인정받는 데는 1959년의 바트 고데스베르크 강령까지 기다려야 했다.

2. 2. 이탈리아의 좌파 수정주의

이탈리아에서는 프랑스조르주 소렐 등의 혁명적 생디칼리슴의 영향을 받은 아르투로 라브리올라, 엔리코 레오네 등이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등의 우파 수정주의와 대조적으로 혁명적 폭력과 계급 투쟁을 중시하는 한편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유물론을 수정한 좌파 수정주의 운동을 이탈리아 사회당에서 전개했다.[8][9][10] 이는 파시즘을 창시한 베니토 무솔리니에게 영향을 주었다.[11]

3. 정통 마르크스주의와 반수정주의

정통 마르크스주의나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주의 진영에서는 수정주의를 멸칭으로 사용하며, 반수정주의를 내세웠다. 예를 들어 중화인민공화국1960년대 초반, 평화 공존 노선을 추구한 소비에트 연방을 수정주의라고 비판했다. (한편 소련은 중국의 그러한 자세를 "교조주의"라고 비난했다).[4]

계획 경제의 실패로 인해 유연한 조정 정책이라고 불리는 경제 정책을 실행한 류사오치, 덩샤오핑 등은 1960년대에 "수정주의자"로 몰려 권력을 잃기도 했다.[4] 엔베르 호자가 이끄는 알바니아 노동당은 자당 이외의 모든 공산주의 분파를 "수정주의"로 규정했다.[4]

4. 현대 사회와 수정주의

현대에는 세계의 많은 공산당이나 사회주의 정당이 의회주의에 따른 방침을 강령에 포함시켜 거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부는 이를 교조주의에서 수정주의로 전환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8]

참조

[1]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 논문 The Democracy Wall Movement, Marxist Revisionism, and the Variations on Socialist Democracy http://www.tandfonli[...] 2007
[3] 서적 On Khrushchov's Phoney Communism and Its Historical Lessons for the World https://www.marxists[...] 1964-07
[4] 서적 The Quest for Evolutionary Socialism: Eduard Bernstein And Social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 서적 Jahrbuch für Forschungen zur Geschichte der Arbeiterbewegung 2002
[6] 웹사이트 Marxist revisionism: From Bernstein to modern forms http://etext.virgini[...] Charles Scribner's Sons 2008-04-28
[7] 서적 Revisionism 1989
[8] 서적 The Birth of Fascist Ideology: From Cultural Rebellion 2001
[9] 서적 ベルグソンとソレル
[10] 서적 La revisione del marxismo Biblioteca del Divenire sociale 1909
[11] 서적 L'identità fascista Lulu 2008
[null] 서적 Fascismo controrivoluzione imperfetta SEAM 2001
[null] 서적 Il giovane Mussolini. Marx e Nietzsche in Mussolini socialista Sugarco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